당근에 대하여
먼 옛날 2,000년 전 아프간에서 처음 재배되었던 당근은 허준의 동의보감에 혈액의 응고를 막아주는 야채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처음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되었을 때 당나라에서 들어온 게 유래가 되어 당근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홍당무라고 불리기도 했었습니다. 어찌 되었건 몸에 좋기로 어렸을 때부터 귀가 따갑도록 들었었던 당근입니다. 이 글을 통해서 당근의 효능, 부작용, 궁합이 맞는 음식 재료 순으로 잘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당근의 효능
당근은 베타카로틴 함량이 가장 많기로 유명합니다. 섭취하면 체내에 흡수되어 비타민 A로 전환되는 베타카로틴은 눈 건강에 아주 탁월한 채소입니다. 그리고 항산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암을 예방해주고 노화를 방지해줍니다. 또한 당근은 리코펜과 루테인 함량이 많아서 시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면역력 향상과 고혈압 예방효과와 더불어 동맥경화를 막아주는 좋은 역할을 합니다. 특히 미국 하버드 연구팀은 당근과 같은 황색 채소에는 유방암 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고 밝히기도 하였습니다. 추가로, 당근은 빈혈을 예방하는 채소입니다. 당근 속에 풍부한 철분과 비타민A는 체내에서 조혈작용을 돕습니다. 이러한 조혈작용이 체내 혈액순환을 좋게 해주어서 빈혈을 예방할 수 있게 됩니다. 이외에 당근은 설사에도 좋습니다. 당근은 신체 중, 하복부를 따뜻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당근 속에 있는 펙틴이 정장 작용을 하기 때문인데 이는 설사를 멈출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당근이라는 채소는 우리의 몸속에 아주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영양가 있는 음식 재료입니다.
2. 당근의 부작용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과하게 먹거나 잘못 섭취할 경우 부작용이 있기 마련입니다. 당근에는 비타민C 산화효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과일이나 채소 종류와 함께 갈아 먹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정 시간 가열된 당근을 조리하면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당근을 먹을 때는 기왕이면 당근 하나만을 단독으로 갈아서 먹거나, 다른 과일이나 채소 종료와 함께 갈아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당근은 카로틴이 많이 포함된 채소입니다. 이 카로틴이 많이 포함된 당근을 한꺼번에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일시적으로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이 보이기도 합니다. 다만 일시적인 증상이어서 건강상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3. 당근과 암 예방
암 예방에 좋은 채소 중 하나가 당근이라는 연구가 유럽에서 밝혀졌습니다. 덴마크 서던덴마크대와 영국 뉴캐슬어폰타인대의 연구진은 당근 속에 함유된 '팔카리놀'이라는 천연 살충 성분이 항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에 따르면 당근이 항암 작용을 한다는 것은 이미 예전부터 알려졌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성분이 항암 작용을 하는지 알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커스틴 브란트 박사가 말하길 "다양한 과일과 채소만 무조건 권해왔었는데, 연구가 진전되면 어떤 과일과 채소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섭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소 쌉싸름한 당근이 왠지 몸에 좋을 것 같다고만 생각하고서 가까이했었는데, 이로써 당근을 왜 더욱더 섭취해야 하는 것인지 알 수 있는 연구 결과입니다. 우리는 언제나 암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나도 모르게 발암물질과 환경에 노출되어 있었을지도 모르고, 나의 생활 습관이 암을 유발하는 생활 습관이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항상 당근과 같이 몸에 좋은 채소나 과일을 가까이해야 합니다. 즉, 편식하지 말고 모든 음식이든 골고루 먹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먹는 채소나 과일 속에서 생각지도 못한 좋은 영양소들이 우리 몸속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골고루 먹어야 한다. 물론 당근이라는 좋은 채소도 부작용이 있는 것처럼, 과하지 않게 적당량을 먹어야 합니다. 이 글을 읽은 분들 모두 김밥 속에 당근을 빼는 편식을 하지 않으며, 기쁜 마음으로 당근을 먹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음식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콩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암 예방 (0) | 2022.12.25 |
---|---|
췌장암을 예방하는 식재료 3가지 (0) | 2022.12.23 |
비트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항암작용 (0) | 2022.12.20 |
부추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암 예방 (0) | 2022.12.18 |
파프리카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암 예방 (0) | 2022.12.14 |
댓글